자궁경부 이형성증(N872) 진단, 상피내암 보험금 청구 가능할까?
자궁경부 이형성증(N872) 진단을 받았다면 제자리암(상피내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할까요? 보험 약관 기준과 실제 청구 사례를 통해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제자리암(상피내암)의 정의
제자리암 또는 상피내암은 조직의 상피층에만 국한되어 있는 초기 단계의 암을 의미합니다. 주변 조직이나 림프절로 전이되지 않은 상태이며, '0기 암' 또는 '비침습성 암'이라고도 불립니다.
보험에서는 D00~D09로 분류된 상피내 신생물에 해당해야만 보험금을 지급합니다.
📌 보험용어 설명:
▶ D00~D09: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상 제자리암 = 상피내암으로 간주되는 질병 범주입니다.
2. 제자리암 (상피내암)의 증상
상피내암은 대부분 자각 증상이 없어 정기검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자궁경부 상피내암은 이형성증이라는 형태로 먼저 나타나며, 방치할 경우 암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전문해설:
▶ 이형성증은 암 전 단계로, 고등급 이형성증(CIN2, CIN3)은 상피내암과 유사하지만 엄밀히는 D00~D09 코드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제자리암 (상피내암) 검사방법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직검사, 미세침흡인검사, 혈액검사 등의 병리학적 검사를 시행합니다. 조직 검사 결과가 D 코드로 분류될 경우에만 보험금 청구 요건에 부합합니다.
📌 보험약관 부연:
진단은 병리전문의에 의해 내려져야 하며, 반드시 현미경 소견이 동반된 진단이어야 인정됩니다.
4. 제자리암 보험의 지급조건
일반적으로 보험약관에서는 상피내암 진단 시, 가입금액의 20%를 1회에 한해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단, 반드시 D00~D09 질병코드에 해당해야 하며, 'N87' 등 다른 코드로 분류되면 지급 제외됩니다.
📌 약관 해석:
보험사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의 [별표7]을 기준으로 진단 코드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합니다.
5. 자궁경부 이형성증 보험금 청구 사례
2025년 4월, 한 여성은 **여성병원에서 '중증의 자궁경부 이형성증 NOS (N872)'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는 조직검사상 CIN2 수준의 고등급 이형성으로 확인되었고, 상피내암으로 판단해 보험금 20%를 청구했습니다.
그러나 보험사는 N87.1 또는 N87.2는 D00~D09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지급 불가하다는 입장을 전달했습니다. 약관에 따라 상피내암으로 인정받지 못한 사례입니다.
📌 사례 해설:
N87 코드 계열은 '자궁경부의 이형성'에 해당하며, D00~D09 상피내 신생물 코드가 아닌 이상 보험금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자궁경부 제자리암 수술 이후 보험금 청구 시 필요한 서류는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6. 마무리
자궁경부 이형성증과 상피내암은 매우 유사해 보이지만, 보험금 지급 여부는 질병 코드(D00~D09) 적용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진단서와 조직검사 결과를 반드시 확인한 후 청구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보험금 청구 전,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불필요한 분쟁을 방지하세요!
※ 본 글은 실제 보험 약관을 참고하여 작성한 일반 정보이며, 보험금 지급 여부는 개별 보험사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상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눈 및 굳은살, 대법원 판례로 질병수술비 보험금 지급기준 (1) | 2025.04.30 |
---|---|
뇌협착 진단보험금 분쟁사례 총정리 지급 기준과 대응 (3) | 2025.04.24 |
폭발사고, 화재보험으로 보상되지 않는다? 보험 약관의 함정 (3) | 2025.04.22 |
표적항암제 처방계획과 실제 처방 시점 다르면 보험금 줄어든다? 금감원 판례 총정리 (2) | 2025.04.19 |
제2형 당뇨 수술 보험금 거절당했다면? 금감원 사례로 알아보는 청구 팁! (1)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