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사례

제2형 당뇨 수술 보험금 거절당했다면? 금감원 사례로 알아보는 청구 팁!

viajero7 2025. 4. 19. 12:4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금융감독원에서 제시한 보험분쟁 사례를 통해 제2형 당뇨병 치료를 위한 위소매절제술(위축소 수술)과 관련된 보험금 청구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보험사로부터 보험금 지급을 거절당한 사례와 이에 대한 금감원의 판단 기준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금감원 분쟁 사례: 제2형 당뇨와 위소매절제술

 
한 민원인이 제2형 당뇨병(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특징인 대사성 질환으로, 성인에게 흔히 발생하는 당뇨병 유형) 치료를 위해 의사의 권유로 위소매절제술을 받은 후 '특정질병 수술보험금'을 청구했습니다.

특정질병 수술보험금이란?

보험약관에 명시된 특정 질병의 직접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수술을 받은 경우에 지급되는 보험금입니다. 일반적으로 '질병의 직접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수술'이라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사례에서 쟁점은 위소매절제술이 제2형 당뇨의 '직접 치료 목적'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보험사는 위소매절제술이 비만 치료를 위한 수술이지 당뇨 치료를 직접 목적으로 하는 수술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보험금 지급을 거절했습니다.
 

보험금 지급 판단 기준

금융감독원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이 분쟁을 판단했습니다:
 

1. 건강보험 급여 대상 여부


보건복지부는 2018년 11월(고시 2018-281호)부터 내과적 치료 등으로 혈당조절이 어려운 제2형 당뇨환자 중 BMI(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27.5kg/㎡ 이상인 경우, 위소매절제술을 건강보험 급여 대상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 BMI(체질량지수)란?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도를 측정하는 국제적인 기준입니다. 일반적으로 아시아인은 BMI 25 이상을 과체중, 30 이상을 비만으로 봅니다.

계산식: BMI = 체중(kg) ÷ 키(m)²

 

2. 수술 목적의 확인


민원인의 경우 건강보험 급여 대상에 해당되어 단순한 비만 치료가 아닌 당뇨 치료 목적의 수술로 판단되었습니다. 의사가 발행한 진단서와 소견서에도 당뇨 치료를 위한 수술임이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3. 치료 효과 확인


실제로 수술 후 민원인의 당뇨 상태가 매우 호전된 점도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되었습니다. 수술 전후 혈당 수치의 변화, HbA1c(당화혈색소) 수치의 개선 등 객관적인 지표를 통해 당뇨 치료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 HbA1c(당화혈색소)란?

최근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당뇨 조절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7% 미만이면 양호한 혈당 조절 상태로 봅니다.

 


당화혈색소 상세정보는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이러한 근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금융감독원은 위소매절제술을 당뇨 치료의 직접적인 목적으로 받은 수술로 인정하고 관련 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내렸습니다.


위소매절제술 이후 보험금 청구 시 필요한 서류는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질병상해보험 보험금 청구서류]

 


 


 

위소매절제술이란? 당뇨 치료와의 관계


위소매절제술(Sleeve Gastrectomy)은 원래 고도비만 치료를 위해 시행되는 수술이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제2형 당뇨 치료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위소매절제술(sleeve gastrectomy)이란?

위의 큰 만곡부(바깥쪽으로 굽은 부분)를 절제하여 위를 세로로 긴 튜브 형태로 만드는 수술입니다. 이로 인해 위 용적이 약 80% 감소하고 식욕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그렐린(ghrelin)의 분비가 줄어듭니다.

 

당뇨 치료에 효과적인 이유


위소매절제술이 제2형 당뇨 치료에 효과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체중 감소로 인한 인슐린 감수성 증가
  • 식이 제한으로 인한 혈당 상승 감소
  • 위장관 호르몬 변화로 인한 당 대사 개선
  • 위장관 미생물총의 변화로 인한 대사기능 개선

특히 내과적 치료만으로는 혈당 조절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위소매절제술은 효과적인 치료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 알아두세요!

위소매절제술 후 많은 환자들이 수술 직후부터 인슐린이나 경구혈당강하제 약물의 용량을 줄이거나 중단할 수 있을 정도로 혈당 조절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이 사례가 주는 시사점

 

1. '직접 치료 목적'의 해석 확대


보험약관에서 '직접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수술'이라는 문구는 종종 보험금 지급 거절의 근거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사례는 최신 의학적 견해와 치료 방법을 반영하여 '직접 치료 목적'의 해석 범위를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2. 의학적 근거와 보험 판단의 연계성


보건복지부의 건강보험 급여 인정 기준이 보험금 지급 판단에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습니다. 이는 의학적 판단과 보험금 지급 기준이 서로 연계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3. 치료 효과의 중요성


실제 수술 후 질병 상태가 호전되었다는 점이 판단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는 보험금 청구 시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보험금 청구 시 알아두면 좋은 팁


제2형 당뇨로 진단받고 위소매절제술을 고려하거나 이미 수술을 받은 분들을 위한 보험금 청구 팁을 알려드립니다:

 

1. 수술 전 확인사항

  • 본인의 BMI가 27.5kg/㎡ 이상인지 확인
  • 내과적 치료로 혈당조절이 어려운 상태임을 의무기록에 기록해 두기
  • 주치의와 당뇨 치료 목적의 수술임을 충분히 상담하고 기록으로 남기기

 

2. 수술 관련 증빙서류 확보

  • 의사로부터 해당 수술이 당뇨 치료를 위한 것임을 명시한 진단서 또는 소견서 받기
  • 건강보험 급여 대상 수술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보관
  • 수술 전후 혈당 수치, HbA1c 수치 등 치료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검사 결과지 보관

 

3. 보험금 청구 시 주의사항

  • 보험약관에서 '특정질병 수술보험금' 관련 조항 확인
  • 청구 서류와 함께 수술이 당뇨 치료 목적임을 증명하는 자료 함께 제출
  • 보험사에서 거절 시 금융감독원 분쟁조정 사례를 참고하여 이의제기
  •  

💡 전문가 TIP

보험금 청구가 거절될 경우, 먼저 보험사에 이의신청을 하고,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처에 분쟁조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면 손해사정사나 변호사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전문가 상담의 중요성

오늘 소개해 드린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 사례는 제2형 당뇨 환자의 위소매절제술에 대한 보험금 청구 권리를 인정한 중요한 선례입니다. 그러나 이 사례가 모든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의 상황과 보험약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보험금 청구와 관련된 분쟁이 발생했을 때는 전문 손해사정사나 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자신의 권리를 적절히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제2형 당뇨는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환입니다.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식이요법,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

 

제2형 당뇨 수술 보험금 거절당했다면? 금감원 사례
제2형 당뇨 수술 보험금 거절당했다면? 금감원 사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