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내출혈(I619)로 뇌졸중 진단을 받은 후 치매로 발전하여, 결국 장기요양 3등급이 인정된 사례를 통해 치매보험에서 어떻게 보장이 되는지 알아보고, 치매보험의 중요성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 목차 ▣
1. 뇌졸중과 치매 사례
2. 뇌졸중
3. 알츠하이머 치매
4. 장기요양 3등급
5. 손해사정
6. 맺음말
1. 뇌졸중과 치매 사례
가. 초기 발현단계
A씨는 갑작스러운 두통과 우측 팔다리의 마비 증상을 호소하며 응급실에 도착했습니다. 신속한 진단을 위해 실시된 뇌 MRI 및 CT 스캔에서 뇌내출혈이 확인되었고, 즉시 뇌졸중(I61.9) 진단을 받았습니다.
초기 치료로는 출혈을 최소화하고 뇌압을 관리하기 위한 약물 치료가 실시되었습니다.
나. 치료 및 회복 과정
응급 치료 후 A 씨는 입원하여 집중적인 재활 치료를 받기 시작했습니다. 우측 팔다리의 기능 회복을 돕기 위한 물리치료와 작업치료가 포함되었습니다.
초기 몇 주 동안은 뚜렷한 진전이 관찰되었으나, A 씨는 점차 기억력 저하와 인지 기능의 감소를 경험하기 시작했습니다.
**치매보험금 청구 시 필요한 서류는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다. 치매진단
뇌졸중 후 몇 달이 지난 후, A씨의 인지 기능 저하가 더욱 심각해져 치매 진단을 받게 되었습니다. 가족들은 A 씨가 최근 사건을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일상적인 대화를 이어가는 데도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습니다.
신경과 전문의는 A씨에게 실시한 인지 기능 검사를 통해 치매 진단을 내렸습니다.
라. 장기요양 3등급 판정
치매의 진행과 함께 A씨는 일상생활에서 점점 더 많은 도움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가족들은 A 씨의 상태가 장기요양보험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수준까지 이르렀다고 판단하고, 장기요양등급 신청을 했습니다.
심사 과정에서 A씨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인지 기능 저하가 평가되었고, 결국 장기요양 3등급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 등급은 A 씨가 상당한 수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가정 방문 간호, 주간 보호, 재가 서비스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뇌졸중
가. 정의
뇌졸중(Stroke)은 뇌의 혈류가 갑자기 차단되거나 뇌내 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급성 뇌혈관 질환입니다.
뇌졸중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과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로 구분됩니다.
나. 뇌졸중의 유형
(1)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혈전이나 색전에 의해 뇌로의 혈류가 차단되어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유형의 뇌졸중입니다.
(2)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
뇌 내부의 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 조직으로 유출되는 경우입니다.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과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이 이에 해당합니다.
다. 증상
(1) 뇌졸중의 증상은 발생하는 위치와 유형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급격한 팔다리의 마비 또는 약화(Hemiplegia or Hemiparesis), 언어장애(Aphasia), 시각장애(Visual Disturbance), 혼란(Confusion), 심한 두통(Severe Headache) 등이 있습니다.
(2) 운동 기능 장애(Motor Dysfunction), 언어 및 인지 장애(Cognitive and Language Disorders), 감각 이상(Sensory Disturbance), 정서적 변화(Emotional Lability)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라. 검사방법
(1) 뇌 컴퓨터단층촬영(CT Scan)
- 뇌졸중 진단, 특히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을 확인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검사 중 하나로 응급 상황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뇌내출혈을 나타내는 CT의 주요 소견 >
- 고밀도(Hyperdense) 영역의 존재
신선한 출혈은 일반적으로 CT 스캔에서 고밀도 영역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출혈 부위에 혈액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이며, 주변의 뇌 조직보다 밝게 보입니다.
- 출혈의 위치와 패턴
출혈은 뇌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위치와 패턴은 출혈의 원인과 예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에 의한 뇌내출혈은 주로 대뇌의 심부 구조(예: 시상, 기저핵)에 발생하는 반면, 동맥류 파열에 의한 출혈은 뇌의 표면 가까이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변 조직의 반응
출혈이 일어난 후, 주변 뇌 조직의 부종이나 압박 소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출혈로 인해 주변 뇌 조직이 손상을 받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출혈의 진행
일부 경우에는 초기 CT 스캔에서 작은 출혈이 확인된 후, 추후 검사에서 출혈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자기공명영상(MRI)
자기공명영상(MRI)은 뇌졸중 진단, 특히 뇌내출혈과 뇌경색을 구별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MRI는 뇌 조직과 혈액의 상태를 더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 CT보다 더 민감하게 출혈 및 다른 뇌 손상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뇌내출혈의 경우, MRI에서 나타나는 특정 소견은 출혈의 연령(신선한 출혈인지, 오래된 출혈인지 등)과 위치, 크기 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정량적인 "수치"보다는 영상학적 "소견"을 통해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 뇌내출혈을 나타내는 MRI의 주요 소견 >
- 신호의 변화:
MRI에서 출혈은 시간 경과에 따라 다른 신호 특성을 보입니다. 초기 출혈(신선한 출혈)은 일반적으로 T1 가중 영상에서는 등신호 또는 저신호, T2 가중 영상에서는 고신호 또는 저신호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출혈 부위의 신호 특성이 변하며, 이는 혈액 내 성분의 변화에 기인합니다.
- 출혈의 위치와 형태:
뇌내출혈의 위치와 형태는 출혈의 원인과 예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에 기인한 출혈은 대개 뇌의 심부에 위치하는 반면, 외상이나 동맥류 파열로 인한 출혈은 다른 특징적인 위치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주변 조직의 반응:
MRI는 주변 뇌 조직의 부종이나 손상을 CT보다 더 세밀하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는 출혈로 인한 2차적인 뇌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 Gradient Echo (GRE) 또는 Susceptibility Weighted Imaging (SWI):
이러한 시퀀스는 출혈에 의한 미세한 철분 입자를 감지하는 데 매우 민감하며, 작은 출혈이나 오래된 출혈을 감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3) 혈관조영술(Angiography)
혈관조영술(뇌혈관조영술)은 뇌내출혈(뇌졸중)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한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뇌의 혈관 구조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어, 출혈의 원인이 되는 혈관 이상을 발견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혈관조영술을 통해 뇌내출혈의 확정 진단 및 원인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 또는 소견이 관찰되어야 합니다.
< 뇌내출혈을 나타내는 혈관조영술의 주요 소견 >
- 혈관 이상의 직접적인 관찰:
혈관조영술은 혈관의 이상(예: 동맥류, 혈관 기형, 혈관의 협착 또는 폐색)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동맥류나 동정맥 기형(AVM) 같은 혈관 이상이 출혈의 원인으로 확인되면, 이러한 소견은 뇌내출혈의 원인 진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 혈관의 비정상적인 패턴 또는 출혈의 근원:
혈관조영술에서 혈관의 비정상적인 형태나 패턴(예: 혈관의 비정상적인 확장, 굴곡, 혈류의 비정상적인 분포)이 발견되면, 이는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혈관 이상을 나타냅니다. 또한, 출혈이 혈관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도 있습니다.
- 혈관의 비정상적인 색전 또는 혈류 변화:
특정 혈관 구조에서 혈류의 비정상적인 정체 또는 색전이 발견될 경우, 이는 혈관의 폐색이나 혈류 장애를 나타내며, 이는 뇌내출혈의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 혈관의 구조적 변화:
혈관조영술에서 혈관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혈관벽의 손상이나 질환(예: 혈관염)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소견 역시 출혈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4) 심전도(ECG) 및 혈액 검사(Blood Test)
뇌졸중의 원인을 찾기 위해 추가로 실시될 수 있습니다.
마. 치료방법
(1) 약물 치료
허혈성 뇌졸중의 경우, 혈전 용해제(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가 초기 몇 시간 내에 사용되어 혈전을 용해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항혈소판제(Antiplatelet Agents)와 항응고제(Anticoagulants)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혈전 형성을 방지합니다.
(2) 수술적 치료
특히 출혈성 뇌졸중에서 혈액을 제거하거나 혈관 이상을 교정하기 위해 신경외과적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바. 보험약관에서 뇌졸중
(1) 보험상품마다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
3. 알츠하이머 치매
가. 정의
(1)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AD)은 뇌의 신경 세포 사멸과 함께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 플라크와 타우(Tau) 단백질의 뉴로파이브릴러리 탱글(Neurofibrillary Tangles)이 누적되어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입니다.
(2) 알츠하이머 병은 가장 흔한 형태의 치매 중 하나로, 뇌의 신경 세포들이 점진적으로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주로 기억력 감소, 인지 기능 장애, 행동 변화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나. 증상
(1) 초기
경도의 기억력 상실(Mild Memory Loss), 학습 능력 저하(Learning Difficulties)
(2) 중기
언어 장애(Language Impairment), 판단력 저하(Impaired Judgement), 정서적 변화(Emotional Changes), 간단한 일상 활동의 어려움(Difficulty in Daily Activities)
(3) 말기
심각한 기억력 상실(Severe Memory Loss), 의사소통 능력 상실(Loss of Communication Skills), 전적인 돌봄 필요(Need for Full-Time Care)
다. 검사방법
(1) 신경심리학적 평가(Neuropsychological Testing)
환자의 인지 기능, 기억력, 주의력, 언어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평가함으로써 치매의 존재와 유형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경우, 특정 인지 영역에서의 저하가 관찰되며, 이러한 저하는 일상생활의 기능에 영향을 줍니다.
- 평가 방법
일반적인 신경심리학적 평가 도구: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Scale-Cognitive Subscale (ADAS-Cog) 등과 같은 도구가 사용됩니다. 이러한 검사들은 기억력, 주의력, 언어 능력, 시공간 능력 등 다양한 인지 기능을 평가합니다.
기억력 평가: 기억력 평가는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에 있어 핵심적입니다. 암기 및 회상 검사, 단어 목록 학습 테스트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언어 능력 평가: 언어 이해 및 표현 능력, 명명 능력 등을 평가합니다.
집행 기능 평가: 문제 해결 능력, 계획 및 조직화 능력 등을 평가합니다.
주의력 및 작업 기억 평가: 주의 집중력, 작업 기억력 등을 평가합니다.
- 평가 기준 및 수치
평가 결과는 정상 범위와 비교하여 해석됩니다. 각 검사 도구마다 정상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환자의 점수가 평가됩니다.
예를 들어, MMSE의 경우, 30점 만점에 24점 이하가 인지 저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육 수준, 연령, 문화적 배경 등이 점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해석이 필요합니다.
특정 인지 영역에서의 저하 정도와 패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알츠하이머 치매를 진단합니다.
- 주의할 점
신경심리학적 평가는 치매의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환자의 전반적인 의학적, 신경학적 평가와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뇌 영상 검사, 혈액 검사 등을 통해 다른 원인에 의한 인지 저하를 배제해야 합니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단은 종합적인 평가와 전문가의 임상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2) 뇌 영상 검사(Brain Imaging)
뇌의 구조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또는 CT(Computed Tomography) 스캔이 알츠하이머 치매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원인에 의한 인지 저하(예: 뇌종양, 뇌혈관 질환, 정상압수두증 등)를 배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평가 방법:
MRI: 뇌의 상세한 이미지를 제공하며, 알츠하이머 치매에서 보이는 대뇌 피질의 위축, 특히 해마와 엔토로이널 피질의 위축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백질 변화도 평가할 수 있습니다.
CT: 뇌의 구조적 변화를 빠르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MRI보다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지만, 뇌의 위축이나 비정상적인 부위를 식별하는 데 유용합니다.
- 평가 기준 및 수치
해마와 엔토로이널 피질의 위축: 알츠하이머 치매에서는 해마와 엔토로이널 피질의 위축이 특징적입니다. MRI에서 이러한 위축의 정도를 평가하여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대뇌 피질의 전반적인 위축: 알츠하이머 치매에서는 대뇌 피질의 전반적인 위축이 관찰됩니다. 특히, 전두엽 및 측두엽에서의 위축이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백질 변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서는 백질 변화가 관찰될 수 있으나, 이는 진단에 결정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 주의할 점
뇌 영상 검사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확정 진단을 내리는 독립적인 방법이 아니라, 진단을 지원하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확정 진단은 임상적 평가, 신경심리학적 검사, 뇌 영상 검사 등의 종합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알츠하이머 치매 외에도 여러 가지 뇌 질환에서 비슷한 뇌 구조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조기 진단과 진행 모니터링을 위해 뇌 영상 기법과 함께 생물학적 지표(예: 뇌척수액 내 아밀로이드 및 타우 단백질 수치)의 사용이 강하게 요구됩니다.
(3) 뇌척수액 검사(Cerebrospinal Fluid Analysis)
- 뇌척수액(CSF) 검사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단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검사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생물학적 지표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특히, 인산화 타우)의 수치를 측정합니다.
- 평가 방법
아밀로이드 베타 42(β-42):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CSF에서는 아밀로이드 베타 42의 수치가 정상인에 비해 낮게 나타납니다. 이는 아밀로이드 베타가 뇌 내에 축적되어 CSF로의 유출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타우 단백질: CSF 내 총 타우(T-tau) 단백질 농도가 증가하는 것은 뇌세포 손상을 나타냅니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서는 이 수치가 정상인보다 높게 나타납니다.
인산화 타우(p-tau): 알츠하이머 치매에서는 특히 인산화 타우의 수치가 증가합니다. 이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징적인 병리학적 변화인 신경섬유 다발의 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 평가 기준 및 수치
정확한 수치는 실험실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각 기관의 참조 범위를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CSF 내 아밀로이드 베타 42의 낮은 수치, 총 타우 및 인산화 타우의 높은 수치가 알츠하이머 치매를 지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밀로이드 베타 42의 수치가 500 pg/mL 미만, 총 타우가 300 pg/mL 이상, 인산화 타우가 60 pg/mL 이상인 경우, 알츠하이머 치매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실험실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참조 범위를 확인해야 합니다.
- 주의할 점
뇌척수액 검사로 얻은 생물학적 지표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확정 진단을 지원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 치매의 확정 진단은 임상적 평가, 신경심리학적 검사, 뇌 영상 검사와 같은 다른 진단 방법들과의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CSF 내의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 단백질 수치는 알츠하이머 치매 이외에도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해석이 필요합니다..
라. 치료방법
(1) 완치불가
현재 알츠하이머 병을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은 없지만, 증상을 완화시키고 질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여러 약물이 있습니다.
(2)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Cholinesterase Inhibitors)
도네페질(Donepezil),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갈란타민(Galantamine) 등이 기억력과 인지 기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3) NMDA 수용체 길항제(NMDA Receptor Antagonist)
멤란틴(Memantine)은 중등도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 병 환자에서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 능력을 개선하는 데 사용됩니다.
4. 장기요양 3등급
가. 정의
(1) 장기요양보험제도
노인성 질병 또는 장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도 이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장기요양 등급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범위가 달라집니다.
(2) 장기요양의 구분
장기요양 등급은 크게 1등급에서 5등급까지 있으며, 특별등급으로 인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각 등급은 수급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필요한 돌봄의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3) 장기요양 3등급의 정의
장기요양 3등급은 일상생활에서 상당한 도움이 필요한 중증도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등급에 해당하는 수급자는 개인위생 관리, 식사, 이동 등 일상생활의 주요 활동에서 상당한 도움을 필요로 합니다.
나. 인정조건 및 검사기준
(1) 인정조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장기요양 3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상당한 제한을 받고 있어야 하며, 이는 의사의 진단과 함께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결정됩니다.
(2) 검사기준
장기요양 인정조사는 서면조사, 직접방문조사, 신체기능검사 등을 포함합니다. 이 과정에서 인지기능 저하, 일상생활수행능력('ADLs'), 사회적 활동능력 등이 평가됩니다.
다. 수급자 혜택 및 지원내용
(1) 재가서비스 :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데이케어'), 단기보호('숏스테이') 등
(2) 시설서비스: 요양시설 입소 서비스
(3) 복지용구 지원: 일상생활에 필요한 복지용구의 대여나 구입 비용 지원
(4) 특별혜택: 중증 치매 환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
(5) 장기요양보험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먼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하여 인정조사를 받아야 합니다.
5. 손해사정
가. 보장담보 사례
나. 보험금 계산
담보 | 지급사유 | 가입금액 | 보험금 산정 |
장기요양진단(3등급)담보 | 장기요양 3등급 인정 시 | 2,000만원 | 2,000만원 |
장기요양간병지원금(1~3등급) | 장기요양등급인정 후 입원치료 시 | 1,000만원 | 1,000만원 |
뇌졸중진단담보 | 뇌졸중분류표의 진단 확정 시 | 2,000만원 | 2,000만원 |
6. 맺음말
뇌졸중 이후 치매로 진행되고, 결국 장기요양등급이 인정된 환자와 그 가족들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막대한 정신적, 경제적 부담을 가져오며, 일상생활의 많은 변화를 요구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치매보험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됩니다. 치매보험은 뇌졸중 이후 치매 발병과 같은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
보험은 치료비, 간병비, 그리고 재활비 등 치매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비용을 보장해 줄 수 있으며,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치료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치매보험은 환자가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받으며 최대한 행복하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가족들 역시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어 환자를 더욱 집중적으로 돌보고, 함께 시간을 보내며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치매보험은 뇌졸중 이후 치매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환자와 가족이 직면할 수 있는 많은 어려움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중요한 대비책입니다. 그러므로, 미리 치매보험에 가입하여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는 것은 현명한 결정이 될 것입니다.
우리 모두의 삶은 예측할 수 없는 변화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러나 사전에 준비하고 대비함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찾아 나갈 수 있습니다.
치매보험은 바로 그런 대비책 중 하나이며, 우리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지키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보상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뎅기열 보장받는 해외여행보험 알아보기 (1) | 2024.03.30 |
---|---|
일본 감염병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에 대한 보험 보장 (0) | 2024.03.30 |
요추간판탈출증에 후궁절제술과 신경유착박리술 보장보험 (0) | 2024.03.27 |
B형 간염보균자의 간세포암(HCC, C220) 진행 사례 (2) | 2024.03.25 |
유방암 C509 유방제자리암 D051 다빈치로봇절제술, 재건술 알아보기 (1) | 2024.03.21 |